HOME > 무형유산 > 무형유산 > 무형유산 예능보유자 > 제18호 가야금병창
제18호 가야금병창
우리 옛것을 보고, 배우고, 즐기는 전통문화관입니다.
가야금 병창
- 지정명칭
- 가야금 병창
- 지정일자
- 2005년 3월 3일
- 보 유 자
- 문명자, 이영애, 황승옥
종목소개
-
가야금 병창은 가야금 연주에 맞추어 단가나 판소리, 민요 등을 노래하는 공연 예술이다. 판소리를 근간으로 파생된 연희 양식으로, 한 명의 연희자가 소리와 연주를 병행하는 것이 특징이다. 가야금 병창의 반주 악기로는 장구가 사용되며 판소리에서는 ‘석화제’라고도 한다.
가야금 병창곡으로는 <새타령>·<남원산성> 같은 민요와 함께 <호남가>·<죽장망혜>·<녹음방초>·<공명가>같은 단가, 그리고 판소리 가운데 <춘향가>의 ‘사랑가’, <흥보가>의 ‘제비노정기’, <수궁가>의 ‘고고천변’, <심청가>의 ‘심봉사 황성 가는 대목’, <적벽가>의 ‘자룡 활 쏘는 대목’ 등이 주로 불려졌다.
보유자 소개
문명자
-
문명자는 광주광역시 출생으로 오태석·박귀희·안숙선으로 이어지는 가야금병창을 이어받아 그 보존과 전승에 힘쓰고 있다. 병창연주는 깊은 소리구성을 지니고 있으며, 진계면이 장기이지만 계면과 평조를 아우르고 강약과 완급을 조절하여 이면을 잘 그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.
- 전승계보
- 오태석 - 박귀희 - 안숙선 - 문명자
- 인정일자
- 2005년 3월 3일
이영애
-
이영애는 스승 박귀희 선생을 사사했다. 스승으로부터 가야금병창과 판소리를 익혔다. 그가 국악에 입문하게 된 계기는 10살 때 국악을 좋아했던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가야금을 배우게 된 것이 시작이었다. 1977년KBS 민속백일장에 광주·전남 대표로 출전, 가야금산조로 대상을 수상하였다. 이후 박귀희의 제자가 돼 일주일에 1∼2회씩 서울로 가야금병창을 배우기 위해 분주하게 오갔다.
- 전승계보
- 오태석 - 박귀희 - 강정숙 - 이영애
- 인정일자
- 2014년 1월 9일
황승옥
-
황승옥은 전남과학대학교 음악과 교수로 가야금 병창의 이론과 실기의 내용을 담은 『가야금병창전집』을 출간한바 있다. 황승옥이 이끌고 있는 한국전통문화연구회는 전통음악의 계승 발전을 위해 가야금병창, 25현금, 판소리, 민요, 가야금산조 등 맑고 아름다운 가야금 선율을 통해 대중에게 다가서고 있는 공연예술단체이다.
- 전승계보
- 오태석 - 박귀희 - 안숙선 - 황승옥
- 인정일자
- 2014년 1월 9일